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문제풀이에 임하였고, 분량은 1번부터 20번까지 전체 문제의 절반이였다. 약 78분 가량 소요되었으며 당시 시험시간이 80분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약 두배의 시간이 소요되었다고 볼 수있다.
당분간은 시간보다는 문제유형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할 예정이다. 문제를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 문제 및 보기를 재해석하여 오답노트를 작성하고, 영어로 번역하여 복기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하고자 한다.
오답정리
2. <보기1>은 사회경제적 변동상황을, <보기2>는 이에 대한 개혁방안을 제시한다. 올바른 <보기2>의 입장에서 <보기1>에 대한 올바른 추론은?
<보기1>
(가) 이앙법이 보급됨에 따라 가구 당 경작가능면적이 늘어나 광작경영이 유행하였다. 그 결과 많은 농민이 토지에서 유리되었다.
(나) 조세의 금납화, 상공업의 발달 등으로 인해 화폐유통이 활발해졌으나, 부유한 자들의 화폐매점으로 인해 실질유통화폐량은 감소하여 농민들은 피해를 입었다.
<보기2>
갑: 자영농중심농촌사회재건이 시급하므로 우선적인 토지개혁을 통해 경자유전의 원칙을 실현해야한다.
을: 농업중심경제는 한계에 달하여, 상공업의 효율성을 인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신경제체제모색에 힘써야한다.
나의 선택: 갑과 을은 (가)를 용납될 수 없는 경제적 폐해로 봄
정답: 을은 (가)를 농업기술과 생산력 향상을 초래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봄
보기의 5번이었던 나의 선택은 상대적으로 올바른 추론이 아닌 것을을 제외한 뒤 선택한 답안이다. 그러나 을이 제시한 농업의 산업적 경제발전성의 한계는 (가)에서 제시한 농업산업발전과 모순된다.
정답문에서 농업기술과 생산력 향상은, <보기1>의 이앙법 보급으로 인한 경작가능면적 향상과 부합하고, 그 향상은 경제발전으로 치환될 수있고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점으로 해석할 수있다. 따라서 이앙법 보급은 결국 새로운 경제체제를 모색하는 방법으로 나아가는 길이므로 가장 올바른 추론으로 결론지을 수있다.
[English] 2. <Example 1> and <Example 2> present, respectively, historic cases of socio-economic change, and solutions for the changes. In perspectives of two speakers in <Example 2>, which answer is the most relevant inference?
<Example 1>
(A) With the dissemination of enhanced technique of rice transplantation, w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cultivable unit per house, it was an agricultural tendency to grow crops on larger areas. Hence, a number of farmers became isolated from farmland.
(B) The circulation of currency was came to be more vigorous due to such economic improvement as taxation based on spot cash,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industry. However, the oligopolistic occupation of currency of the rich diminished the substantial amount of currency in market and it victimised farmers.
<Example 2>
John: As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agricultural industry that orientates self-management is exigent, it should be prior to establish a plan for the reformation of farmland, which can realise the principle of farmers having their land.
Emily: As the current agriculture-centred economic system reached to its limitation, it should be necessary to admit the effectuality of commercial industry and, on the basis of that, to find out a new economic system.
My choice: John and Emily see (A) as an unacceptable economic consequence.
Correct answer: Emily see (A) as what supports societal development because it results in technical and subsequent enhancements, respectively, of agricultural industry and its effectiveness.
I chose the fifth answer amongst choices for this question because it was the last one after deducting other choices considered less relevant. However, the limitat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Emily pointed out, is contradictory to the technical enhancement of cultivation, which (A) presented.
The two enhancements i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 to the dissemination of enhanced technique of rice transplantation, and the increased size of cultivable unit per house. Those are also substituted by what supports societal development, which Emily said. Therefore, the development will be linked with the phrase of having to find out a new economic system, which Emily said in <Example 2>.
6. <보기> 주택매매에 대한 갑과 을의 협상과정을 제시한다. 협상의 결과가 (가)에서 (나)로 바뀌는 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보기>
(가) '갑'은 시세가 2억 원의 아파트를 사고 싶었지만, 그만큼 지불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 1억 6천만원에 팔라고 집주인 '을'에게 제시한다. 반면 '을'은 싼 가격에 급하게 팔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고 1억 8천만 원을 제시한다. '갑'은 이를 받아들여 계약 날짜를 정하고 헤어졌다.
(나) 계약일에 다시 만난 자리에서 '갑'은 '을'에게 현재 여관에 투숙중이어서 불편하고, 비용도 만만치 않아 한 달 안에 이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반면 '을'은 집을 일찍 비우는 것은 문제가 아니었으나 애초에 세 달 가량 더 머물고 이사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일찍 집을 비울 경우 예상치 않은 비용이나 노력이 들어갈 것이 틀림없었다. 이에 '갑'은 두 달 정도 후에 이사가 가능하면 5백만 원을 더 지불하겠다고 하였다. '을'은 이를 승낙하고 두 사람간 계약은 1억 8천 5백만 원에 체결된다.
나의 선택: 상대방이 양보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정도에 대한 정보 / 상대방 요구수용시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에 대한 인지
정답: 상대방 요구수용시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에 대한 인지 / 협상과정시 상대방 요구를 충족가능한 새로운 대안 제시
<보기>에서 '갑'과 '을'이 서로 5백만 원의 지출과 예정된 3개월에서 단축된 2개월 내 이사를 상대방이 양보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여 답을 골랐으나, 문제에서 물어보는 (가)와 (나) 사이에 발생하거나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 (나)의 상황에서 합의된 내용이므로 부적절한 답이다. 또한 나는 양측의 양해내용이 (나)의 상황에서 새로운 대안이 아닌 적정수준으로 조정된 사안이라 생각하여 정답의 두번째 요인을 제외하였다. 그러나 (가)에서 '갑'이 제안한 1억 6천만 원과 '을'에게 소유권이 있는 아파트의 시세의 2억 원에서, '갑'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을'이 조정한 2천 만원의 손실량은 (나)에서 '갑'의 요구로 인해 1억 8천 5백만 원과 1개월을 앞당긴 이사로 변경합의되었음을 감안하면, '갑'이 제시한 5백만 원의 추가지불은 '을'이 예상한 3개월의 이사유예기간을 1개월 앞당기는 새로운 제안이라고 해석할 수있다. 따라서 협상과정 내 '을'은 '갑'의 요구를 충족가능한 대안으로서 5백만 원을 승낙하였고 이것이 (가)의 협상내용이 (나)의 협상내용으로 전환되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있기에 정답으로 분석할 수있다.
[English] 6. <Example> presents the negotiative process of proprietary transaction between John and Emily. What factors will change from (A) to (B)?
<Example>
(A) John wanted to purchase an apartment market-priced at $2 million but he did not think that the price is affordable. He, thus, bid $1.6 million for the property to the owner, Emily. However, Emily did not regard that it was necessary to sell it urgently. She offered $1.8 million for it. John accepted the offer and they set a date for the contract.
(B) At the day of the contract, John said that he costly and uncomfortably stayed at a hotel and would have liked to move within a month. However, even though it was not a problem for Emily to vacate the apartment, she was planned to stay further for three months more before vacating. If she moved out earlier than what she planned, it was evident that there would be unpredictable costs and efforts. Hence, John suggested an extra payment as $5,000 if possible to move within a couple of months and Emily accepted it. Their transaction was concluded as $1.85 million.
My choice: Information on the maximal extent of concession between needs of each person / Perception on costs and interests which are occurred in a case that he or she accept other person's offer.
Correct answer: Perception on costs and interests which are occurred in a case that he or she accept other person's offer / New alternative suggestion possible to satisfy other person's offer.
In the <Example>, the extra payment of John and the reduced necessitating period for moving out of Emily were regarded as elemented conceded by each person, therefore, I chose the first factor in the above my choice. However, it is likely relevant to see as factors, not occurred in a period between (A) and (B), but rather occurred within a presented situation of (B). Moreover, the conceded matters of both persons were considered not new alternatives but appropriately adjusted matters in the situation of (B). However, the new suggestion of $5,000 for one month earlier moving in contractively functioned as a factor having changed from $1.8 million in (A) to $1.85 million in (B), which can be an evidence of the second point of the correct answer.
이밖에 퀴즈형 문제인 7번과 독점력과 관련된 정부정책 및 기업전략에 관한 문제 1개를 추가적으로 틀렸으나 후자는 단순한 실수였고, 전자는 고질적으로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나머지 21번부터 40번 문제 중 유사한 문제에서 틀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여 내일 함께 정리할 예정이다.
당분간은 시간보다는 문제유형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할 예정이다. 문제를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 문제 및 보기를 재해석하여 오답노트를 작성하고, 영어로 번역하여 복기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하고자 한다.
오답정리
2. <보기1>은 사회경제적 변동상황을, <보기2>는 이에 대한 개혁방안을 제시한다. 올바른 <보기2>의 입장에서 <보기1>에 대한 올바른 추론은?
<보기1>
(가) 이앙법이 보급됨에 따라 가구 당 경작가능면적이 늘어나 광작경영이 유행하였다. 그 결과 많은 농민이 토지에서 유리되었다.
(나) 조세의 금납화, 상공업의 발달 등으로 인해 화폐유통이 활발해졌으나, 부유한 자들의 화폐매점으로 인해 실질유통화폐량은 감소하여 농민들은 피해를 입었다.
<보기2>
갑: 자영농중심농촌사회재건이 시급하므로 우선적인 토지개혁을 통해 경자유전의 원칙을 실현해야한다.
을: 농업중심경제는 한계에 달하여, 상공업의 효율성을 인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신경제체제모색에 힘써야한다.
나의 선택: 갑과 을은 (가)를 용납될 수 없는 경제적 폐해로 봄
정답: 을은 (가)를 농업기술과 생산력 향상을 초래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봄
보기의 5번이었던 나의 선택은 상대적으로 올바른 추론이 아닌 것을을 제외한 뒤 선택한 답안이다. 그러나 을이 제시한 농업의 산업적 경제발전성의 한계는 (가)에서 제시한 농업산업발전과 모순된다.
정답문에서 농업기술과 생산력 향상은, <보기1>의 이앙법 보급으로 인한 경작가능면적 향상과 부합하고, 그 향상은 경제발전으로 치환될 수있고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점으로 해석할 수있다. 따라서 이앙법 보급은 결국 새로운 경제체제를 모색하는 방법으로 나아가는 길이므로 가장 올바른 추론으로 결론지을 수있다.
[English] 2. <Example 1> and <Example 2> present, respectively, historic cases of socio-economic change, and solutions for the changes. In perspectives of two speakers in <Example 2>, which answer is the most relevant inference?
<Example 1>
(A) With the dissemination of enhanced technique of rice transplantation, w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cultivable unit per house, it was an agricultural tendency to grow crops on larger areas. Hence, a number of farmers became isolated from farmland.
(B) The circulation of currency was came to be more vigorous due to such economic improvement as taxation based on spot cash,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industry. However, the oligopolistic occupation of currency of the rich diminished the substantial amount of currency in market and it victimised farmers.
<Example 2>
John: As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agricultural industry that orientates self-management is exigent, it should be prior to establish a plan for the reformation of farmland, which can realise the principle of farmers having their land.
Emily: As the current agriculture-centred economic system reached to its limitation, it should be necessary to admit the effectuality of commercial industry and, on the basis of that, to find out a new economic system.
My choice: John and Emily see (A) as an unacceptable economic consequence.
Correct answer: Emily see (A) as what supports societal development because it results in technical and subsequent enhancements, respectively, of agricultural industry and its effectiveness.
I chose the fifth answer amongst choices for this question because it was the last one after deducting other choices considered less relevant. However, the limitat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Emily pointed out, is contradictory to the technical enhancement of cultivation, which (A) presented.
The two enhancements i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 to the dissemination of enhanced technique of rice transplantation, and the increased size of cultivable unit per house. Those are also substituted by what supports societal development, which Emily said. Therefore, the development will be linked with the phrase of having to find out a new economic system, which Emily said in <Example 2>.
6. <보기> 주택매매에 대한 갑과 을의 협상과정을 제시한다. 협상의 결과가 (가)에서 (나)로 바뀌는 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보기>
(가) '갑'은 시세가 2억 원의 아파트를 사고 싶었지만, 그만큼 지불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 1억 6천만원에 팔라고 집주인 '을'에게 제시한다. 반면 '을'은 싼 가격에 급하게 팔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고 1억 8천만 원을 제시한다. '갑'은 이를 받아들여 계약 날짜를 정하고 헤어졌다.
(나) 계약일에 다시 만난 자리에서 '갑'은 '을'에게 현재 여관에 투숙중이어서 불편하고, 비용도 만만치 않아 한 달 안에 이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반면 '을'은 집을 일찍 비우는 것은 문제가 아니었으나 애초에 세 달 가량 더 머물고 이사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일찍 집을 비울 경우 예상치 않은 비용이나 노력이 들어갈 것이 틀림없었다. 이에 '갑'은 두 달 정도 후에 이사가 가능하면 5백만 원을 더 지불하겠다고 하였다. '을'은 이를 승낙하고 두 사람간 계약은 1억 8천 5백만 원에 체결된다.
나의 선택: 상대방이 양보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정도에 대한 정보 / 상대방 요구수용시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에 대한 인지
정답: 상대방 요구수용시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에 대한 인지 / 협상과정시 상대방 요구를 충족가능한 새로운 대안 제시
<보기>에서 '갑'과 '을'이 서로 5백만 원의 지출과 예정된 3개월에서 단축된 2개월 내 이사를 상대방이 양보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여 답을 골랐으나, 문제에서 물어보는 (가)와 (나) 사이에 발생하거나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 (나)의 상황에서 합의된 내용이므로 부적절한 답이다. 또한 나는 양측의 양해내용이 (나)의 상황에서 새로운 대안이 아닌 적정수준으로 조정된 사안이라 생각하여 정답의 두번째 요인을 제외하였다. 그러나 (가)에서 '갑'이 제안한 1억 6천만 원과 '을'에게 소유권이 있는 아파트의 시세의 2억 원에서, '갑'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을'이 조정한 2천 만원의 손실량은 (나)에서 '갑'의 요구로 인해 1억 8천 5백만 원과 1개월을 앞당긴 이사로 변경합의되었음을 감안하면, '갑'이 제시한 5백만 원의 추가지불은 '을'이 예상한 3개월의 이사유예기간을 1개월 앞당기는 새로운 제안이라고 해석할 수있다. 따라서 협상과정 내 '을'은 '갑'의 요구를 충족가능한 대안으로서 5백만 원을 승낙하였고 이것이 (가)의 협상내용이 (나)의 협상내용으로 전환되는 요인으로 판단할 수있기에 정답으로 분석할 수있다.
[English] 6. <Example> presents the negotiative process of proprietary transaction between John and Emily. What factors will change from (A) to (B)?
<Example>
(A) John wanted to purchase an apartment market-priced at $2 million but he did not think that the price is affordable. He, thus, bid $1.6 million for the property to the owner, Emily. However, Emily did not regard that it was necessary to sell it urgently. She offered $1.8 million for it. John accepted the offer and they set a date for the contract.
(B) At the day of the contract, John said that he costly and uncomfortably stayed at a hotel and would have liked to move within a month. However, even though it was not a problem for Emily to vacate the apartment, she was planned to stay further for three months more before vacating. If she moved out earlier than what she planned, it was evident that there would be unpredictable costs and efforts. Hence, John suggested an extra payment as $5,000 if possible to move within a couple of months and Emily accepted it. Their transaction was concluded as $1.85 million.
My choice: Information on the maximal extent of concession between needs of each person / Perception on costs and interests which are occurred in a case that he or she accept other person's offer.
Correct answer: Perception on costs and interests which are occurred in a case that he or she accept other person's offer / New alternative suggestion possible to satisfy other person's offer.
In the <Example>, the extra payment of John and the reduced necessitating period for moving out of Emily were regarded as elemented conceded by each person, therefore, I chose the first factor in the above my choice. However, it is likely relevant to see as factors, not occurred in a period between (A) and (B), but rather occurred within a presented situation of (B). Moreover, the conceded matters of both persons were considered not new alternatives but appropriately adjusted matters in the situation of (B). However, the new suggestion of $5,000 for one month earlier moving in contractively functioned as a factor having changed from $1.8 million in (A) to $1.85 million in (B), which can be an evidence of the second point of the correct answer.
이밖에 퀴즈형 문제인 7번과 독점력과 관련된 정부정책 및 기업전략에 관한 문제 1개를 추가적으로 틀렸으나 후자는 단순한 실수였고, 전자는 고질적으로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나머지 21번부터 40번 문제 중 유사한 문제에서 틀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여 내일 함께 정리할 예정이다.